
(pc화면을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취모 공식멘토 와이즈공방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이은 자소서 항목 분석 아흔네 번째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자소서 문항을 보고 여러분은 어떤 경험을 떠올리려 하셨나요?
여러분의 대부분은 대화를 통해 무언가를 성취한 경험을 떠올리려 하셨을 겁니다.
하지만 제가 여러 번 언급했듯이, 이럴 때는 생각의 순서를 바꾸어야 합니다.
즉, 이번 자소서에서는 대화를 통해(1) 어떤 성과를 달성한 경험(2)을 작성하는 것이 아닌,
어떤 성과를 달성한 경험(2)을 떠올리고, 그것이 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1)고
작성해야 합니다. 대화를 통해 성과를 달성한 경험을 생각해 내기보다는, 성과를 달성한 경험이 대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각색하는 편이 훨씬 수월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항복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그러면 지금부터 자소서 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커뮤니케이션/협업을 잘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간략히 정의하고, 본인이 이러한 역량을 발휘했던 사례를 서술하시오. (800자)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사람이란 비협조적인 사람에게도 협업을 이끌어내어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생 시절, 저는 봉사 동아리에서 총무로 활동했습니다. 봉사 동아리를 운영하기 위해선 단원들의 협조를 이끌어내야 했지만, 여느 대학생들이 그렇듯 힘들고 피곤한 일에는 대부분 비협조적이었습니다.
이에 저는 다음과 같은 대화 스킬을 사용하여 단원들의 협조를 이끌어냈습니다.
우선, 단원 개개인과 사적인 이야기를 할 정도까지 친밀감을 쌓았습니다. 각 단원들의 관심사를 파악한 후 단원과 대화할 때는 그 관심사를 주제로 대화함으로써, 그들의 내적 친밀감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단원들과 대화할 때 언제나 그들의 말을 경청했습니다. 단원들이 무심코 했던 말까지 기억한 후 훗날 그 내용에 대해 다시 물어봄으로써 단원들로 하여금 그들이 특별히 대우받는 것처럼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3칭찬 1부탁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제가 단원들에게 무언가 부탁하기 전 무조건 세 번의 칭찬을 함으로써, 단원들이 저에게 무언가 부탁을 받았을 때 그것을 거절하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대화법들을 통해, 단원들은 제 부탁이라면 무엇이든 들어줄 정도로 협조적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제가 총무를 하던 당시, 저희 동아리는 봉사활동 건수 75건이라는 동아리 창설 이래 최고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공백 포함 총 689자]

자소서 항목 작성방법
step1.
협업을 한 경험을 생각해낸 후, 그 협업이 대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각색합니다.
- 아르바이트, 동아리활동, 팀 프로젝트, 직장 경험 등에서 협업을 한 경험을 생각해냅니다.
-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찬동한 후, 그들과의 협업을 통해 성과를 냈다고 각색합니다.
- 대화를 통해 협업을 이끌어내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방식들이 있습니다.
1) 대화를 통해 비협조적인 사람을 협조적으로 바뀌게 하여 협업을 이끌어냄
2)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회의적인 사람들을 설득하여 프로젝트를 완수함
3)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독려하여 일의 능률을 상승시킴
4)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끌어모아 어떤 일을 수행함
step 2.
협업을 이끌어내야 했던 당시의 상항을 간략히 작성합니다.
-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이었는지 간략히 작성합니다.
- 당시 사람들이 협업에 대해 어떤 태도를 보였는지 간략히 작성합니다.
- 당시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면 무엇이 문제였는지 작성합니다.
step 3.
대화를 통해 사람들의 협업을 유도하는 과정을 작성합니다.
- step1에서 떠올린 대화를 통해 협업을 유도한 과정을 작성합니다.
- 협업 유도 과정이 하나일 경우, 과제를 이루어가는 과정을 점진적으로 작성합니다.
- 협업 유도 과정이 여러 개일 경우, 개조식(첫째~, 둘째~,..)으로 각 과정을 작성합니다.
step 4.
협업을 통해 달성한 성과를 작성합니다.
- 협업을 이끌어내어 어떤 일을 수행하게 되었는지 작성합니다.
- 성과는 개량적(ex. 프로젝트 달성, 자격증 취득), 수치적(ex. 매출 15% 상승)으로 작성합니다.
- 따로 거둔 성과가 없다면, 협업을 이끌어내면서 배우거나 깨달은 점을 작성합니다.
step 5.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자소서 내용에 맞게 작성합니다.
- 글을 모두 작성한 후 자소서 가장 위에 두괄식으로 작성합니다.
- 글의 전체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작성합니다.
해설
이번 자소서 문항에서도 까다로운 경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마 여러분 중 대부분은 이번 지문을 보자마자 대화를 통해(1) 사람들의 협업을 이끌어낸 경험(2)을 떠올리려 하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와이즈공방이 언제나 언급했듯이, 이런 종류의 경험에서는 생각의 순서를 바꾸어야 합니다.
협업을 통해 성과를 이끌어낸 경험(1)을 먼저 떠올린 뒤,
그 경험이 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고 각색(2) 합니다.
대화를 통해 협업을 이끌어내는 경험 자체도 부족할뿐더러, 그 협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룩한 경험은 더더욱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협업을 통해 성과를 거둔 경험을 먼저 생각해낸 뒤, 그 협업이 대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여러분의 경험을 각색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Step1.
협업을 통해 성과를 거둔 경험을 생각해낸 뒤, 그 협업이 대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각색합니다. 여러분의 아르바이트, 동아리활동, 팀 프로젝트, 직장 경험 등에서 관련 경험을 생각해냅니다.
협업에 관련된 경험을 떠올리려 할 땐, '팀으로서 성과를 거둔 경험'을 떠올리도록 합니다. 그 후, 해당 성과를 거두는 과정에서 여러분이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정리합니다. 이번 자소서 소재의 작성 플로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팀 활동(협업)을 통해 성과를 거둔 경험을 떠올린다
↓
팀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각색한다
↓
대화를 통해 팀원들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작성한다
↓
협업을 통해 달성한 성과를 작성한다
대화를 통해 협업을 이끌어내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대화를 통해 비협조적인 사람을 협조적으로 바뀌게 하여 협업을 이끌어냄
2)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회의적인 사람들을 설득하여 프로젝트를 완수함
3)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독려하여 일의 능률을 상승시킴
4) 대화를 통해 사람들을 끌어모아 어떤 일을 수행함
Step2.
협업을 이끌어내야 했던 당시의 상황을 간략하게 작성합니다.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이었는지 작성하며, 당시 사람들의 태도가 어땠는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업을 이끌어내야 했는지 작성합니다.
여러분이 자세하게 작성해야 할 부분은 대화를 통해 사람들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과정(step3)입니다. 따라서 이번 부분은 되도록 간단히 작성하되, 자소서를 읽는 면접관들이 당시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정보는 제공하도록 합니다.
Step3.
step1에서 떠올린 대화를 통해 협업을 유도한 과정을 작성합니다.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들였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하며, 해당 과정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그 과정을 작성합니다.
협업을 유도하는 과정이 한 가지일 경우, 그 한 가지 방법을 서사적으로 풀어서 작성합니다. (단계적)
ex1) 제가 수행할 업무 중 어떠한 방법을 발전시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
그다음으로, ~~
마지막으로, ~~라고 생각합니다.
협업을 유도하는 과정이 여러 가지이면, 그 여러 가지 방법을 문단을 나누어 작성합니다. (독립적)
ex2) 제가 수행할 업무를 발전시킬 방안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 ~~
둘째, ~~
셋째, ~~
위와 같은 설명 방식을 개조식 설명 방법이라고 합니다. 개조식 설명 방법이란 순서를 붙여(1.,,, 2.,,, 3.,,, or 첫째,,, 둘째,,, 셋째,,, 등) 독립된 각 문항을 나열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개조식 설명 방법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생각하는 바를 정리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읽는 이가 내용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셋째, 글을 구성할 때 내용을 쉽게 추가하거나 뺄 수 있습니다.
Step4.
협업을 통해 달성한 성과를 작성합니다. 사람들의 협업을 이끌어내어 어떤 일을 수행하게 되었는지 작성하며, 그 과정에서 달성한 성과가 있다면 해당 성과를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 구체적인 성과를 작성할 때는 그 성과를 개량적, 수치적으로 작성하며 그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량적 성과 : 프로젝트 개발 완료, XX 대회 금상 수상, 자격증 취득 등
수치적 성과 : 매출 15% 상승 달성, 첫 오픈 고객 1,000명 달성 등
많은 분들이 성과에 대해 작성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이것을 기억해 주세요, 조직생활에서 대부분의 성과는 여러분 혼자 쌓는 것이 아닌, 팀원 전체가 같이 쌓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과에 대해 작성할 땐, 조직의 성과를 먼저 작성하고 그 조직에서 여러분이 어떤 일을 했는지 작성하면 자신이 거둔 성과를 쉽게 작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따로 달성한 성과가 없다면, 사람들의 협업을 이끌어내면서 배우거나 깨달은 점을 작성합니다.
Step5.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정의하며 여러분이 작성한 자소서 내용에 맞게 작성합니다. 자소서를 모두 작성한 뒤 두괄식으로 작성하며, 글의 전체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작성합니다.
어떤가요? 도움이 되셨나요? 대화를 통해 협업을 이끌어낸 경험은 자소서뿐만 아니라 면접에서도 출제될 수 있는 내용이니, 면접까지 한꺼번에 준비한다는 마인드로 이번 자소서를 작성해 주면 되겠습니다.
위 자소서 내용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소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여러분의 자소서에 어떤 내용을 작성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위 자소서 내용을 참고하여 자신의 지문을 완성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곧 있으면 서류전형 마감인데 어떻게 자소서를 써야 할지 모르겠다고요?
자소서를 처음 써봐 많이 떨리신다고요?
서류 전형에서 계속 떨어져서 답답하시다구요?
유튜브나 다른 서적에서 알려주지 않는 자소서 모범답안과 작성 노하우를 통해,
평범한 당신의 자소서를 완벽하게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어느 기업에 지원하든, 자소서만큼은 확실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 자소서를 총망라한
무조건 합격할 수밖에 없는
역대급 자소서 작성법 및 모범답변을 대공개합니다!
취업, 이제는 당신의 차례입니다.
[자소서 무조건 쉽게 쓰는 40가지 작성법 & 자소서예시] : https://kmong.com/gig/456527
[자소서 무조건 쉽게 쓰는 80가지 작성법 & 자소서예시] : https://kmong.com/gig/429427
[자소서 무조건 쉽게 쓰는 120가지 작성법 & 자소서예시] : https://kmong.com/gig/409809
자소서 쉽게 따라 쓰는 120가지 작성법 자소서예시 | 30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총 평점 5점의 전자
55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5점인 와이즈공방의 전자책, 취업·이직 전자책 서비스를 18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전자책, 취업·이직 전자책 제공 등 30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서비스
kmong.com
댓글